‘하나님’ 하면 남성의 모습을 떠올려요. 성경은 하나님의 모습을 어떻게 기록하고 있나요?

Student
선생님, 하나님을 묘사한 그림들을 보면 하나님이 전부 남자로 그려져 있더라고요. 사람들은 보통 ‘하나님’ 하면 남자 모습을 생각하나 봐요. 왜 그럴까요?
Teacher
하나님께서는 오랜 세월 동안 남자의 모습으로 사람들에게 나타나셨거든요. 성부•성자•성령의 하나님이 한 분이라는 건 잘 알고 있을 거예요. 하나님께서 성부시대 여호와의 이름으로 계실 때나, 성자시대 예수라는 이름으로 이 땅에 사람으로 오셨을 때나 모두 남성의 모습이셨어요. 아무래도 ‘하나님은 남자’라는 고정관념이 강해질 수밖에 없었죠.
Student
하나님이 남자의 모습이라서 ‘아버지 하나님’이라고 불렀던 거군요.
Teacher
예수님은 남성 형상의 하나님이 우리 영혼의 아버지라고 알려주셨어요.


“그러므로 너희는 이렇게 기도하라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여 이름이 거룩히 여김을 받으시오며”

마 6장 9절

이 말씀에는 깊은 뜻이 있어요. ‘아버지’는 가정에서 부르는 호칭이잖아요. 하나님과 우리의 관계가 부모와 자녀의 관계, 한마디로 영혼의 가족임을 알려주신 거예요.


“너희에게 아버지가 되고 너희는 내게 자녀가 되리라 전능하신 주의 말씀이니라 하셨느니라”

고후 6장 18절
Student
가족이라면, 아버지와 자녀뿐 아니라 자녀를 낳아준 어머니도 당연히 있어야 하지 않나요?
Teacher
맞아요. 우리 영혼에도 어머니가 계세요.


“오직 위에 있는 예루살렘은 자유자니 곧 우리 어머니라”

갈 4장 26절

하늘에 계신 어머니는 우리 영혼의 어머니세요. 어머니라면, 여성의 모습을 가지신 하나님이시겠죠? 이미 창세의 역사에서부터 여성의 형상을 가지신 하나님이 등장하고 있어요.


“하나님이 가라사대 우리의 형상을 따라 우리의 모양대로 우리가 사람을 만들고 그로 바다의 고기와 공중의 새와 육축과 온 땅과 땅에 기는 모든 것을 다스리게 하자 하시고 하나님이 자기 형상 곧 하나님의 형상대로 사람을 창조하시되 남자와 여자를 창조하시고”

창 1장 26~27절

하나님께서 사람을 창조하실 때 ‘우리’가 만들겠다고 하셨어요. ‘나’라는 단수(단일한 사람 또는 사물을 나타내는 말)의 호칭 대신 ‘우리’라는 복수(둘 이상의 사람 또는 사물을 나타내는 말)의 표현을 쓰신 이유는 하나님의 형상이 둘 이상이기 때문이에요.
Student
그럼 하나님의 형상은 남성과 여성이겠네요. ‘우리’라고 하신 하나님의 형상대로 창조된 사람이 남자와 여자니까요.
Teacher
그렇죠. 만약 남성 형상의 하나님만 계셨다면 그 형상대로 만들어진 사람도 남자뿐이었을 거예요. 하지만 남자와 여자가 창조된 것은 하나님께서 남성적 형상과 여성적 형상을 가지셨다는 뜻이에요. 화가가 남자 모델을 앞에 두고 그림을 그리면 남자 그림이, 여자 모델을 앞에 두고 그리면 여자 그림이 나오는 것처럼요.
지금까지는 하나님께서 남성의 형상으로만 나타나셨지만, 때가 되면 여성의 형상을 가지신 어머니 하나님도 그 모습을 나타내세요.


“기약이 이르면 하나님이 그의 나타나심을 보이시리니 …”

딤전 6장 15절
Student
그때가 언제인가요?
Teacher
성부•성자•성령 시대 중 마지막 시대인 성령시대예요. 성령이신 아버지 하나님과 함께 신부이신 어머니 하나님께서 이 땅에 오신답니다.


“성령과 신부가 말씀하시기를 오라 하시는도다 듣는 자도 오라 할 것이요 목마른 자도 올 것이요 또 원하는 자는 값없이 생명수를 받으라 하시더라”

계 22장 17절

생명수는 구원을 의미해요. 구원을 주시는 분은 하나님밖에 없어요. 그러니 성령과 신부는 하나님이시죠. ‘성령’은 성삼위일체의 성령 하나님이라는 것은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지만 ‘신부’에 대해서는 정확히 몰라요. 생명수를 주시는 ‘신부’는 어머니 하나님이에요.


“… 일곱 천사 중 하나가 나아와서 내게 말하여 가로되 이리 오라 내가 신부 곧 어린양의 아내를 네게 보이리라 하고 성령으로 나를 데리고 크고 높은 산으로 올라가 하나님께로부터 하늘에서 내려오는 거룩한 성 예루살렘을 보이니”

계 21장 9~10절


“오직 위에 있는 예루살렘은 자유자니 곧 우리 어머니라”

갈 4장 26절
Student
그런데 대부분 어머니 하나님이라고 하면 생소하게 생각해요.
Teacher
하나님은 남자, 아버지 하나님이라는 고정관념 때문이죠. 하지만 여태까지 존재하지 않았던 어머니 하나님이 갑자기 등장하시는 것이 아니에요. 창세기 1장에서 봤듯이 어머니 하나님은 창세전부터 존재하셨어요. 그리고 아버지 하나님과 함께 구원의 역사를 이끌어오셨지요.


“… 여호와께서 가라사대 이 무리가 한 족속이요 언어도 하나이므로 이같이 시작하였으니 이후로는 그 경영하는 일을 금지할 수 없으리로다 자, 우리가 내려가서 거기서 그들의 언어를 혼잡게 하여 그들로 서로 알아듣지 못하게 하자 하시고”

창 11장 1~7절

노아의 홍수 이후 사람들이 교만한 마음으로 바벨탑을 쌓았을 때, 그 일을 중지시키신 하나님은 ‘우리’라고 말씀하신 하나님이셨어요.


“내가 또 주의 목소리를 들은즉 이르시되 내가 누구를 보내며 누가 우리를 위하여 갈꼬 그때에 내가 가로되 내가 여기 있나이다 나를 보내소서”

사 6장 8절

이사야 선지자를 보내실 때에도 하나님께서 ‘우리’라고 말씀하셨어요. 아버지 하나님과 어머니 하나님이 함께 일하신 거예요.
Student
그동안 사람들이 몰랐을 뿐이지, 아버지 하나님과 어머니 하나님은 항상 함께하셨군요.
Teacher
그럼요. 단지 그 모습을 드러낼 예언의 때만을 기다리신 거예요.
우리가 보는 개역성경에 ‘하나님’이라고 번역된 부분을, 히브리 원어 성경으로 보면 ‘엘’, ‘엘로아흐’, ‘엘로힘’이라 기록되어 있어요. ‘엘’과 ‘엘로아흐’는 ‘하나님’이라는 단수 표현이고, ‘엘로힘’은 ‘하나님들’이라는 복수 표현이에요. 그런데 원어 성경에는 엘로힘으로 기록된 부분이 2500번 정도 나와요.
Student
엘로힘은 아버지 하나님과 어머니 하나님이시네요! 하나님께서 성경 곳곳에 어머니 하나님이 존재하신다는 사실을 기록해 놓으신 것 같아요.
Teacher
하나님을 올바르게 알아보고, 믿을 수 있는 방법은 성경뿐이에요. 고정관념을 버리고 성경을 믿는다면 아버지 하나님 그리고 어머니 하나님이 계시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그러므로 우리가 여호와를 알자 힘써 여호와를 알자 그의 나오심은 새벽빛같이 일정하니 비와 같이, 땅을 적시는 늦은 비와 같이 우리에게 임하시리라 하리라”

호 6장 3절

“너희가 성경에서 영생을 얻는 줄 생각하고 성경을 상고하거니와 이 성경이 곧 내게 대하여 증거하는 것이로다”

요 5장 39절
Student
하나님을 힘써 알라고 하셨으니까, 성경 공부를 더 열심히 해야겠어요. 그래서 성경에 기록된 어머니 하나님을 친구들에게 알려줄래요!
G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