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활절 달걀? 왜 다른 교회에서는 부활절에 달걀을 나눠주죠?

Student
선생님, 선생님. 곧 있으면 부활절이잖아요. 친구들이 다니는 교회에서는 부활절에 달걀을 준비하더라고요, 달걀에 그림도 그리고요.
Teacher
네, 전 세계적으로 많은 교회에서 채색한 달걀을 나누면서 부활절을 기념하고 있어요. 하지만 그건 성경에서는 전혀 찾을 수 없는 풍습이에요. 혹시 부활절을 영어로 뭐라고 하는지 아나요?
Student
Easter[이스터]라고 들은 적이 있어요.
Teacher
맞아요. 하지만 Easter라는 명칭도 성경과는 전혀 상관없답니다. 성경적으로 표현한다면 예수님이 부활(resurrection)하신 날이니까 Resurrection Day[레저렉션 데이]라고 해야 옳아요.
Student
그럼 이스터는 뭐예요?
Teacher
‘이스터’는 원래 게르만 족이 섬기던 봄의 여신의 이름이에요. 북유럽에서 이스터 여신은 생명과 탄생을 주관한다고 여겼어요.
Student
그런데 왜 예수님께서 부활하신 날을 이스터라고 하죠? 다른 신의 이름이잖아요!
Teacher
초기 기독교 복음이 이스라엘에서 서방 유럽으로 전파되는 과정에서 변질되었기 때문이에요. 당시 로마는 군사적으로, 정치적으로 막강한 나라였어요. 로마의 권력자들도 복음을 듣고 기독교로 개종하면서 로마교회를 중심으로 한 유럽 교회들이 점점 강성해지죠. 그런데 이교의 사상과 교리를 버리지 못한 권력자들이 이방 풍습을 교회 안으로 하나씩 끌어들이기 시작했고 급기야 모든 교회가 받아들일 것을 요구했어요. 그중 하나가 이스터예요.
다시 말하면 오늘날의 부활절 축제는 기독교의 예수님 부활에 이스터 여신 숭배 사상이 결합된 것이죠.
Student
부활절 날 달걀에 색칠하고 나누는 풍습도 이스터 여신 숭배와 관련된 건가요?
Teacher
네. 사실 이스터 여신뿐 아니라 고대 많은 이방 종교에는 채색한 달걀을 교환하는 풍습이 있었어요. 알은 생명의 시작과 부활을 의미한다고 여겼거든요.
로마 속담에는 ‘모든 생명은 알에서 나온다’는 말이 있고, 고대 바벨론 신화에서는 여신 아스타르테(이스터)가 하늘에서 유프라테스 강에 떨어진 큰 달걀을 깨고 나왔다는 이야기가 있어요. 그래서 바벨론 지역에서 달걀은 아스타르테 여신의 신성한 상징으로 여겨졌죠. 고대 이집트인과 그리스인들도 종교 의식 때 달걀을 이용했다고 해요. 그밖에도 고대 여러 국가에서 봄이 오는 춘분 무렵에 달걀을 교환하는 풍습이 있었어요.
교회마다 ‘달걀 껍데기를 깨고 병아리가 나오듯 예수님이 부활하셨다’는 의미로 부활절에 채색한 삶은 달걀을 나눠준다지만, 이것은 예수님의 부활 전부터 성행하던 고대 이방 종교의 풍습이랍니다.
Student
그러면 부활절은 어떻게 지켜야 하나요?
Teacher
그 답은 성경에서 찾아봐야겠죠?

“그날에 저희 중 둘이 예루살렘에서 이십오 리 되는 엠마오라 하는 촌으로 가면서 이 모든 된 일을 서로 이야기하더라 저희가 서로 이야기하며 문의할 때에 예수께서 가까이 이르러 저희와 동행하시나 저희의 눈이 가리워져서 그인 줄 알아보지 못하거늘 … 저희와 함께 음식 잡수실 때에 떡을 가지사 축사하시고 떼어 저희에게 주시매 저희 눈이 밝아져 그인 줄 알아보더니 …”

눅 24장 13~35절

부활하신 날, 예수님은 엠마오로 가는 두 제자에게 나타나셨어요. 하지만 두 제자는 부활하신 예수님을 전혀 알아보지 못했어요. 예수님께서 두 제자에게 축사한 떡을 떼어주시자 그제야 제자들은 영안이 열려 예수님을 알아보게 돼요.
이 역사가 유래가 되어, 사도들은 떡을 떼며 부활절을 지켰어요(행 20장 7절).
Student
부활절에는 예수님께서 영안을 열어주신 의미를 새기면서 떡을 먹어야겠네요.
Teacher
그렇죠. 부활절에 대해 알아야 할 중요한 사실이 또 있어요. 예수님께서 무슨 요일에 부활하셨는지 아나요?
Student
일요일이요!
Teacher
잘 알고 있네요. 그런데 예수님께서 우연히 일요일에 부활하신 게 아니에요. 구약 절기인 초실절의 예언을 이루시기 위해 정확히 일요일에 부활하셨어요.

“기한에 미쳐 너희가 공포하여 성회로 삼을 여호와의 절기는 이러하니라 정월 십사 일 저녁은 여호와의 유월절이요 이달 십오 일은 여호와의 무교절이니 … 너희는 내가 너희에게 주는 땅에 들어가서 너희의 곡물을 거둘 때에 위선 너희의 곡물의 첫 이삭 한 단을 제사장에게로 가져갈 것이요 제사장은 너희를 위하여 그 단을 여호와 앞에 열납되도록 흔들되 안식일 이튿날에 흔들 것이며”

레 23장 4~11절

여기서 안식일 이튿날은 무교절을 지키고 처음으로 돌아오는 안식일 다음 날을 말해요. 즉, 일요일을 가리키지요. 이날에는 봄 수확 때 거둔 첫 이삭 한 단을 하나님께 드려 제사했어요. 그래서 이름을 첫 열매라는 뜻으로 초실절(初實節)이라고 불렀어요.
예수님께서는 이러한 초실절의 예언을 이루시기 위해 무교절 날 십자가에 운명하시고, 안식 후 첫날인 일요일에 잠자는 자들의 첫 열매로 부활하셨어요.

“예수께서 안식 후 첫날 이른 아침에 살아나신 후 …”

막 16장 9절

“그러나 이제 그리스도께서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아 잠자는 자들의 첫 열매가 되셨도다”

고전 15장 20절
Student
아하! 구약시대 초실절이 무교절 후 돌아오는 첫 일요일이었기 때문에 예수님께서 일요일에 부활하셨군요.
Teacher
정리해보면, 예수님께서는 성력 1월 14일 저녁에 유월절 성만찬을 제자들과 나누시고, 다음 날인 1월 15일 무교절에 십자가에 운명하셨어요. 그리고 무교절 후 첫 안식일 이튿날에 부활하셨죠. 따라서 사도들도 매년 무교절 후 첫 일요일에 떡을 떼며 부활절을 지켰어요.


“우리는 무교절 후에 빌립보에서 배로 떠나 닷새 만에 드로아에 있는 그들에게 가서 이레를 머무니라 안식 후 첫날에 우리가 떡을 떼려 하여 모였더니 …”

행 20장 6~7절
Student
어? 부활절 날짜는 무교절을 기준으로 나오잖아요. 유월절, 무교절을 안 지키는 교회에서는 부활절 날짜를 모를 텐데 어떻게 부활절을 지킬 수 있죠?
Teacher
그들 나름대로 부활절 날짜를 정하는 기준을 정했거든요. 325년 니케아공의회에서요.
Student
니케아공의회요? 그건 유월절을 폐지한 종교회의 아닌가요?
Teacher
맞아요. 로마교회가 유월절을 폐지하면서, 부활절 날짜를 유월절 기준으로 산정할 수 없게 되자 대신 춘분을 지내고 만월(음력 15일) 다음에 오는 첫 일요일을 부활절로 정했어요. 보통 3월 22일에서 4월 25일 사이에 부활절을 지키게 되죠. 성경적인 부활절 날짜와 같을 때도 있지만 성경을 기준으로 한 날이 아니기 때문에 가짜 부활절이라 할 수 있어요.
Student
맙소사. 세상의 부활절은 날짜도, 이름도, 의식도 성경이랑 완전 딴판이네요.
Teacher
예수님의 부활은 하나님께서 인류에게 약속하신 부활이 분명히 있음을 알려주는 확실한 증거예요. 그래서 모든 교회가 부활절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해요. 하지만 날짜를 마음대로 정하고, 명칭을 이방신의 이름으로 대신하고, 의식도 이교의 풍습을 따르고 있으니 참 안타까운 일이죠.
Student
성경의 부활절을 제대로 알려줘야겠어요!
Teacher
그래요. 그리고 우리에게 올바른 부활절을 알려주신 하나님께 더욱 감사하는 마음으로 절기를 지키도록 해요.
G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