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정 기자다윗 외 다수
추정 기록 연대.C. 1500~B.C. 400년경
약자시
장수150편
시편(詩篇)은 ‘시를 모아 묶은 책’이라는 뜻입니다. 히브리어로는 ‘테힐림(찬양들)’이라고 합니다. 모세가 쓴 시부터 1000년에 걸쳐 기록된 시들이 하나로 묶였습니다. 시편의 시들은 예배와 찬양 등에 사용되었으며, 현대의 찬송가처럼 악기 반주에 맞춰 불렀습니다.
다른 성경과 달리 장수를 ‘장’이 아닌 ‘편’이라고 부릅니다. 각 편에는 대부분 표제가 달렸습니다. 표제를 통해 그 시를 적은 사람, 기록 당시 상황, 시의 용도나 반주법을 추측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정확히 언제, 어떻게 사용했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
시편은 성경에서 가장 긴 책이며, 신약성경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는 구약성경입니다.

시편 기자
➀ 다윗
총 73편: 시 3~9, 11~32, 34~41, 51~65, 68~70, 86, 101, 103, 108~110, 122, 124, 131, 133, 138~145➁ 아삽(성가대 및 악대 지휘자)
총 12편: 시 50, 73~83➂ 고라 자손(레위 지파의 전문 음악가 집안)
총 11편: 시 42, 44~49, 84, 85, 87, 88➃ 솔로몬
총 2편: 시 72, 127➄ 에단(성가대 및 악대 지휘자)
1편: 시 89➅ 모세
1편: 시 90➆ 작자 미상
나머지 50편구성
150편의 시가 총 5권으로 구성되었습니다.제1권 1~41편
제2권 42~72편
제3권 73~89편
제4권 90~106편
제5권 107~150편
보편적으로 제1권은 다윗 사후 솔로몬이, 제2권은 고라 자손이, 제3권은 히스기야 시대에 아삽이, 제4권과 5권은 바벨론 포로 시대 이후 에스라와 느헤미야가 시편들을 정리해서 오늘날과 같은 형태를 갖추었다고 봅니다.
내용
시(詩)라는 장르답게 비유와 은유의 표현이 많습니다. 고난 속에 드리는 탄원, 하나님의 권능과 창조에 대한 찬양, 지혜와 교훈, 이 땅에 오실 메시아를 향한 소망 등 시마다 내용이 다양합니다. 그러나 하나같이 하나님을 향한 찬양과 경배의 의미를 담고 있어, 하나님이 유일한 구원자이심을 가르칩니다.
시편에 나온 음악 용어
시편에는 낯선 용어가 자주 등장합니다. 이러한 용어는 연주 방법이나 곡조를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합니다. 정확한 의미나 사용법은 알 수 없지만, 용어의 뜻을 살펴보면 시의 감흥을 느끼는 데 도움을 줍니다.셀라 ‘목소리를 높이다, 찬양하다’라는 뜻. ‘음을 올리거나 쉬라’는 의미로 추정.
영장 성가대 지휘자.
믹담 ‘속죄의 송가’라는 뜻. 유대인들은 ‘황금의 시’라고 일컬음.
마스길 ‘주의 깊은, 지적인’이라는 뜻. 교훈적인 시를 가리킴.
※기타 용어
스미닛, 알라못, 식가욘, 소산님, 수산에둣, 소산님에둣, 알다스헷, 아얠렛샤할, 요낫 엘렘 르호김, 깃딧, 마할랏, 마할랏르안놋, 뭇랍벤
시편 119편
